중식 맛집이라는 강화도 금문도에 다녀왔다.
현장 웨이팅도 매우 길고 예약은 2~3주 뒤에나 가능하다고 해서 9월 초에 예약하여 다녀왔다.
하지만 현장 웨이팅은 오지 않는 예약팀들이 있어서 실제로 30분 정도만 대기하면 들어갈 수 있는것으로 보인다.
12,000원 강화백짬뽕
10,000원 강화섬쌀볶음밥
20,000원 강화순무탕수육을 시켰다.
강화백짬뽕
해산물(오징어,새우,전복,굴)이 많이 들어있다.
흰 국물이 보기와는 다르게 월남고추가 매우 많이 들어 있어 매운 편이다.(약 신라면 맵기 3배, 고추를 한참을 골라냈다)
맛은 무난한 맛이었다. 특별히 맛집이라 느낄 수 있는 점은 없었고 다른 짬뽕집에 있는 백짬뽕들과 비슷한 맛이었다.
강화섬쌀볶음밥
짜장 소스와 백짬뽕 국물이 같이 나온다. (여기도 월남고추가 들어있어 한참을 골라냈다)
볶음밥은 해산물(전복,새우,오징어)이 들어있고 계란 프라이가 올라간다.
볶음밥의 맛은 특별할 것 없이 평범했다.
(8천원짜리 일반 볶음밥도 있는데 차이점은 해산물의 종류나 양으로 보인다.)
강화 순무 탕수육
가격과 비쥬얼과는 다르게 고기 양이 매우 적다. (탕수육에 순무 토핑이 아니라 순무에 탕수육을 끼얹었다고 볼 수 있다.) 고기의 양이 여타 중국집에서 1만원~1만2천원 하는 小 탕수육과 양이 비슷하다.
산더미 순무 아래 약간의 고기와 탕수육 소스가 뿌려진 상태로 서빙이 되는데 이 소스가 일반적으로 알고있는 끈적거리는 탕수육 소스가 아니라 아주 묽은 국물 형태의 소스이고 이 국물 위에 탕수육이 적셔진 채로 나오기 때문에 탕수육이 매우 눅눅하다.
탕수육의 혹평은 나의 주관적인 의견이라기엔 여러 블로그 포스팅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단무지보다 입가심하기 좋다는 것이 유일한 장점이었다.
(유자 소스에 절여진 순무가 느끼함을 잡아줬다.)
총평
짬뽕: B
볶음밥: C
탕수육: D
평가 기준
A: 다시 찾아가고 싶은 맛
B: 한 번쯤은 먹어볼 만한 맛
C: 굳이 먹으러 오지 않아도 되는 맛
D: 여길 찾아와 주문하는 시간과 돈이 아까운 맛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im(이심) 프리티(알뜰폰 kt) 가입 방법 및 후기 (0) | 2022.09.07 |
---|---|
맥북프로 레티나 2015 mid 15인치 개봉기 (0) | 2016.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