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임의의 양의 정수 n에 대해, n이 어떤 양의 정수 x의 제곱인지 아닌지 판단하려 합니다.

n이 양의 정수 x의 제곱이라면 x+1의 제곱을 리턴하고, n이 양의 정수 x의 제곱이 아니라면 -1을 리턴하는 함수를 완성하세요.

 

풀이

1. 1부터 n까지 참조하는 반복문을 만들고

2. 변수 i를 제곱하여 n과 같다면 i+1을 제곱한 값을 answer에 대입

 

위 풀이는 시간 초과라는 문제가 발생해서

자바스크립트에 제곱근을 반환하는 함수인 Math.sqrt()를 이용합니다.

하지만 Math.sqrt() 함수는 실수 값도 반환하기 때문에 정수인지 확인하는 Number.isInteger() 함수를 엔드 연산 해야 합니다.

 

1
2
3
4
5
6
7
8
function solution(n) {
    var answer = -1;
    if (Math.sqrt(n) !== NaN && Number.isInteger(Math.sqrt(n))) {
        answer = Math.sqrt(n)
        answer = (answer + 1* (answer + 1)
    }
    return answer;
}
cs

 

 

 

 

정수를 담고 있는 배열 arr의 평균값을 출력하는 문제입니다.

 

풀이 방법은 

 

1. 전달된 배열인 arr의 전체 요소를 반복문을 이용해 answer 변수에 더해주고

 

2. 더해진 answer를 arr 배열의 길이로 나누어 리턴하면 됩니다.

 

자바스크립트의 반복문은 for문 for-in문 for-of문 foreach문 while문 do-while문이 있습니다.

 

이 중 배열의 요소를 참조하여 반복 작업을 수행하는 foreach문을 사용하겠습니다.

1
2
3
4
5
6
7
8
9
function solution(arr) {
    let answer = 0;
    
    arr.forEach(element => {
        answer+=element;
    });
    
    return answer/=arr.length;
}
cs

 

 

갤럭시 폴드4를 사전 예약을 통해 구입했습니다.

 

22년 9월 1일부터 국내 통신사에서도 워치만 개통이 가능했던 esim의 스마트폰 개통을 정식으로 지원하기 시작했습니다.

 

여러 알뜰폰 업체에서 몇개월간 0원으로 이용이 가능한 신규가입 프로모션을 진행하고 있어서

 

esim 개통을 지원하는 프리티를 통해 폴드4 esim을 개통해봤습니다.

 

 

160분 통화 200건 문자 1.75GB를 제공하는 5,500원짜리 요금제를 8개월 간 0원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참고 링크: http://www.freet.co.kr/pcevent/202209/event_kt202209.jsp) 광고는 아닙니다.

 

 

요금제를 선택하고 가입신청을 해줍니다.

 

통신사는 KT 

가입 유형은 신규가입 (번호이동도 가능합니다.)

유심주문에서 eSIM사용을 선택해줍니다.

eSIM사용을 선택하면 위와 같은 팝업이 뜨는데 무시하시고 계속 진행을 눌러주세요

esim 개통을 하려는 기기의 모델명,일련번호 등 정보를 입력해야 합니다.

 

폴드4 자급제의 모델명은 OMD-SM-F936N 입니다.

 

각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도움말을 운영체제별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IMEI(국제모바일기기식별코드)는 휴대 전화 번호를 부여받기 위한 고유 번호입니다.

물리심을 개통할때도 필요하며 폴드4는 물리심과 esim 두가지가 있기 때문에 한개의 단말기에 IMEI도 2개를 가지고 있습니다.

 

IMEI가 물리심 IMEI2가 esim의 고유값입니다.

위 정보를 참고해서 단말기의 정보를 모두 채워주고 가입신청을 눌러줍니다.

 

현재 esim 개통 관련해 문의가 많아 셀프 개통은 막혀있고 상담원을 통한 가입신청만 가능합니다.

(하지만 해피콜이나 별도 연락이 오지 않고 가입 신청한지 30분 이내에 개통 완료 문자와 esim 개통 QR코드가 왔습니다.)

 

 

다음으로 신청서 작성, 개인정보, 결제정보 등등 입력한 후 가입 신청을 완료합니다.

 

 

이후 개통이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eSIM 개통을 위한 QR코드가 문자로 발송됩니다.

 

문자로 발송된 QR 이미지를 갤러리에 저장해주세요. 이따가 불러와야 합니다.

 

저는 가입신청한지 20분 후에 문자를 받았습니다.

 

 

폴드4 기준으로 설정에 들어가 검색 창에 모바일 요금제 추가를 검색해서 SIM카드 관리자 모바일 요금제 추가 설정을 들어갑니다.

 

 

다시 모바일 요금제 추가를 선택합니다.

 

 

통신사 QR 코드 스캔을 클릭합니다.

 

 

문자로 받은 QR코드를 모니터나 별도 디스플레이에 띄워 스캔해도 되지만 번거롭기 때문에

 

아까 저장했던 QR코드를 불러오도록 위 사진에 빨간색 갤러리 아이콘을 클릭하고 QR코드를 불러옵니다.

 

이후 1~2분 정도 소요가 되고 개통이 완료됐다는 팝업이 뜹니다.

 

하지만 신호를 받아올 수 없다는 메세지가 출력됩니다.

 

여기서 물리심도 삽입했을때 재부팅 혹은 비행기 모드 ON/OFF를 통해 신호를 받아와야 하는것처럼

 

esim도 같은 작업을 해주셔야 합니다.

 

 

그럼 위와 같이 esim 개통이 완료됩니다. 위 사진 하단 옵션처럼 발신을 위한 주 사용 SIM 카드를 설정할 수 있고

 

발신은 별도 설정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 사진처럼 문자나 통화 내역에 esim 아이콘이 표시되며 어떤 sim 번호로 발신된건지 표시/확인이 가능합니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화도 금문도 방문 후기 (중식당)  (0) 2022.09.28
맥북프로 레티나 2015 mid 15인치 개봉기  (0) 2016.04.07

문제 설명

대문자와 소문자가 섞여있는 문자열 s가 주어집니다. s에 'p'의 개수와 'y'의 개수를 비교해 같으면 True, 다르면 False를 return 하는 solution를 완성하세요. 'p', 'y' 모두 하나도 없는 경우는 항상 True를 리턴합니다. 단, 개수를 비교할 때 대문자와 소문자는 구별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s가pPoooyY면 true를 return하고Pyy라면 false를 return합니다.

제한사항

  • 문자열 s의 길이 : 50 이하의 자연수
  • 문자열 s는 알파벳으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입출력 예

s answer
pPoooyY true
Pyy false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p'의 개수 2개, 'y'의 개수 2개로 같으므로 true를 return 합니다.

입출력 예 #2
'p'의 개수 1개, 'y'의 개수 2개로 다르므로 false를 return 합니다.

풀이

문자열의 특정 문자의 개수를 세는 count 함수를 이용합니다.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def solution(s):
    answer = True
    p = 0
    y = 0
    p += s.count('p')
    y += s.count('y')
    p += s.count('P')
    y += s.count('Y')
 
    if (p == y):
        answer = True
    else:
        answer = False
    return answer

 

문제 설명

문자열로 구성된 리스트 strings와, 정수 n이 주어졌을 때, 각 문자열의 인덱스 n번째 글자를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하려 합니다. 예를 들어 strings가 [sun,bed,car]이고 n이 1이면 각 단어의 인덱스 1의 문자u,e,a로 strings를 정렬합니다.

제한 조건

  • strings는 길이 1 이상, 50이하인 배열입니다.
  • strings의 원소는 소문자 알파벳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strings의 원소는 길이 1 이상, 100이하인 문자열입니다.
  • 모든 strings의 원소의 길이는 n보다 큽니다.
  • 인덱스 1의 문자가 같은 문자열이 여럿 일 경우, 사전순으로 앞선 문자열이 앞쪽에 위치합니다.

입출력 예

strings n return
[sun, bed, car] 1 [car, bed, sun]
[abce, abcd, cdx] 2 [abcd, abce, cdx]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sun,bed,car의 1번째 인덱스 값은 각각u,e,a입니다. 이를 기준으로 strings를 정렬하면 [car,bed,sun] 입니다.

입출력 예 2
abce와abcd,cdx의 2번째 인덱스 값은c,c,x입니다. 따라서 정렬 후에는cdx가 가장 뒤에 위치합니다.abce와abcd는 사전순으로 정렬하면abcd가 우선하므로, 답은 [abcd,abce,cdx] 입니다.

풀이

파이썬에는 sorted라는 정렬 함수가 있습니다. 이 함수는 비교 키 값으로 배열의 인자를 참조할 수 있습니다.

sorted(strings, key=lambdax: x[n])

이렇게 하면 strings 함수의 n번째 인자를 키값으로 정렬 한다는 의미 입니다.

또한

  • 인덱스 1의 문자가 같은 문자열이 여럿 일 경우, 사전순으로 앞선 문자열이 앞쪽에 위치합니다.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 n값 기준으로 정렬하기 전에 정렬을 해줘야 합니다.

코드

1
2
3
4
def solution(strings, n):
    strings.sort()
    return sorted(strings, key=lambda x: x[n]) 
 

문제 설명

두 정수 a, b가 주어졌을 때 a와 b 사이에 속한 모든 정수의 합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예를 들어 a = 3, b = 5인 경우, 3 + 4 + 5 = 12이므로 12를 리턴합니다.

제한 조건

  • a와 b가 같은 경우는 둘 중 아무 수나 리턴하세요.
  • a와 b는 -10,000,000 이상 10,000,000 이하인 정수입니다.
  • a와 b의 대소관계는 정해져있지 않습니다.

입출력 예

a b return
3 5 12
3 3 3
5 3 12

풀이

정말 쉬운 문제입니다.

a,b의 대소 관계가 정해져 있지 않으므로

(a<b) or (a>b) 를 체크해서 range의 순서를 정하면 됩니다.

마지막 숫자를 포함해야 하므로 range의 최대 조건값을 +1 해줘야 합니다.

코드

1
2
3
4
5
6
7
8
9
def solution(a, b):
    answer = 0
    if (a < b):
        for i in range(a, b + 1):
            answer += i
    else:
        for i in range(b, a + 1):
            answer += i
    return answer
cs

문제 설명

array의 각 element 중 divisor로 나누어 떨어지는 값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배열을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작성해주세요.
divisor로 나누어 떨어지는 element가 하나도 없다면 배열에 -1을 담아 반환하세요.

제한사항

  • arr은 자연수를 담은 배열입니다.
  • 정수 i, j에 대해 i ≠ j 이면 arr[i] ≠ arr[j] 입니다.
  • divisor는 자연수입니다.
  • array는 길이 1 이상인 배열입니다.

입출력 예

arr divisor return
[5, 9, 7, 10] 5 [5, 10]
[2, 36, 1, 3] 1 [1, 2, 3, 36]
[3,2,6] 10 [-1]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1
arr의 원소 중 5로 나누어 떨어지는 원소는 5와 10입니다. 따라서 [5, 10]을 리턴합니다.

입출력 예#2
arr의 모든 원소는 1으로 나누어 떨어집니다. 원소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해 [1, 2, 3, 36]을 리턴합니다.

입출력 예#3
3, 2, 6은 10으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습니다. 나누어 떨어지는 원소가 없으므로 [-1]을 리턴합니다.

 

 

풀이

정말 쉬운 문제 입니다.

 

arr의 원소가 divisor로 % 연산시에 0이라면 answer 배열에 append 해주면 됩니다.

 

answer가 비어있거나 길이가 0이라면 -1을 append 해줍니다.

 

마지막으로 sort로 정렬 해줍니다.

 

코드

1
2
3
4
5
6
7
8
9
def solution(arr, divisor):
    answer = []
    for i in arr:
        if (i % divisor == 0):
            answer.append(i)
    if (len(answer) == 0):
        answer.append(-1)
    answer.sort()
    return answer
cs

문제 설명

배열 array의 i번째 숫자부터 j번째 숫자까지 자르고 정렬했을 때, k번째에 있는 수를 구하려 합니다.

예를 들어 array가 [1, 5, 2, 6, 3, 7, 4], i = 2, j = 5, k = 3이라면

  1. array의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르면 [5, 2, 6, 3]입니다.
  2. 1에서 나온 배열을 정렬하면 [2, 3, 5, 6]입니다.
  3. 2에서 나온 배열의 3번째 숫자는 5입니다.

배열 array, [i, j, k]를 원소로 가진 2차원 배열 comman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commands의 모든 원소에 대해 앞서 설명한 연산을 적용했을 때 나온 결과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array의 길이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
  • array의 각 원소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
  • commands의 길이는 1 이상 50 이하입니다.
  • commands의 각 원소는 길이가 3입니다.

입출력 예

 

array commands return
[1, 5, 2, 6, 3, 7, 4] [[2, 5, 3], [4, 4, 1], [1, 7, 3]] [5, 6, 3]

입출력 예 설명

[1, 5, 2, 6, 3, 7, 4]를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른 후 정렬합니다. [2, 3, 5, 6]의 세 번째 숫자는 5입니다.
[1, 5, 2, 6, 3, 7, 4]를 4번째부터 4번째까지 자른 후 정렬합니다. [6]의 첫 번째 숫자는 6입니다.
[1, 5, 2, 6, 3, 7, 4]를 1번째부터 7번째까지 자릅니다. [1, 2, 3, 4, 5, 6, 7]의 세 번째 숫자는 3입니다.

 

풀이

1
2
3
4
5
6
7
8
def solution(array, commands):
    answer = []
 
    for j in commands:
        arr = array[j[0- 1:j[1]]
        arr.sort()
        answer.append(arr[j[2- 1])
    return answer
cs

+ Recent posts